티스토리 뷰
목차
12.12 군사 반란 구데타 배경과 진행 역사적 평가
서론
'12.12 반란’은 1979년 12월 12일, 전두환과 노태우 등을 중심으로 한 하나회 세력이 최규하 대통령의 승인 없이 계엄사령관인 정승화 대한민국 육군 참모총장, 정병주 특수전사령부 사령관, 장태완 수도경비사령부 사령관, 김진기 육군 헌병감 등을 체포한 사건입니다.
배경
'12.12 반란’이 일어나게 된 배경은 10.26 사건 이후 각 군 수뇌부들이 계엄사령관을 하게 된 정승화 육군참모총장을 구심점으로 국가의 보위와 안녕을 위해 일치단결하기로 결의했기 때문입니다.
'12.12 반란’의 진행
'12.12 반란’은 하나회 세력이 최규하 대통령의 승인 없이 계엄사령관인 정승화 대한민국 육군 참모총장, 정병주 특수전사령부 사령관, 장태완 수도경비사령부 사령관, 김진기 육군 헌병감 등을 체포한 사건입니다.
이후 전두환 보안사령관 겸 합동수사본부장은 하나회 를 비롯한 동조 세력 규합에 나섰고, 12월 12일 오후, 전두환은 박희도, 최세창, 장기오, 차규헌, 노태우, 황영시 등 규합한 동조세력을 장세동이 있던 경복궁 내 수도경비사령부 여하 제30경비단 단장실로 모이도록 한 후 시내 일원을 장악하기로 한 계획을 지시, 논의했습니다.
영향과 반응
'12.12 반란’은 군부 내부의 주도권을 장악한 뒤 1980년의 5·17사건을 일으켜 새로운 권력을 획득하였습니다. 이 사건은 당시 대한민국의 정치적, 사회적 상황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이후 군부 내부의 권력 구조와 군사정권의 안정성에 대한 논의가 이어졌습니다.
결론
'12.12 반란’은 대한민국 군사정권의 변화를 일으키는 중요한 사건 중 하나입니다. 이 사건은 당시 대한민국의 정치적, 사회적 상황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이후 군부 내부의 권력 구조와 군사정권의 안정성에 대한 논의가 이어졌습니다. 이러한 역사적 사건은 오늘날 우리에게 교훈을 줄 수 있습니다.
12.12 군사반란에 대한 평가
1980년 1월 20일자 신군부 세력은 정승화 참모총장의 추종세력인 이건영 3군사령관과 정병주, 장태완 등을 모두 예편시키고 정승화 참모총장에게 징역 10년형을 선고했습니다 1. 이와 달리, 12·12 군사반란을 주도한 신군부 세력은 대부분 승승장구하며 권력의 요직을 차지했습니다.
육군참모총장 겸 계엄사령관에 이희성 중장이 임명되었고 수도경비사령관에 노태우 소장, 특전사령관에 정호용 소장이 임명되었습니다. 그 외에도 황영시, 김복동, 유학성, 유병현, 박준병 등 신군부 세력은 군 요직을 독점하다시피 했습니다.
신군부 세력은 1980년 5월 17일 비상계엄 전국확대를 계기로 국가권력을 탈취하며 긴 쿠데타 일정을 마무리하였습니다. 1980년 ‘서울의 봄’을 짓밟고 등장한 제5공화국의 뿌리는 여기서 시작되었습니다.
12·12 군사반란의 진상은 그후 십여년간 밝혀지지 못한 채 권력에 의해 은폐되어 있다가 김영삼 정부 아래서 쿠데타의 주역인 전두환, 노태우 두 사람이 구속되어 사법적 심판을 받는 과정에서 ‘하극상에 의한 군사 쿠데타’라는 역사적 평가를 받게 되었습니다.
이후 1996년 12월 26일 군사반란죄와 5.18 민주화운동 유혈진압 등의 혐의로 법정에 선 전두환은 1996년 1심 재판에서 사형을 선고되었고, 이후 무기징역으로 감형된 후 김영삼 정부 말기인 1997년 12월 특별사면을 받게 되었다.
김영삼 정부 말기 1997년 12월 특별사면을 받았으며 이후 국내에서는 국민들으 강한 반감을 불러일으켰습니다.